가상화폐 지갑 ‘디센트’와 ‘키스톤3프로’ 비교

디센트

  • 국내산이라 AS 고객센터 이용 가능
  • 단점 : 폐쇄형 소프트웨어(개인키 생성을 오픈소스로 하지 않음)
  • 단점 보완법 : 오픈소스 지갑에서 니모닉 생성 후 입력
  • 블루투스 기능 존재(논에어갭 방식): 보안성에 단점은 존재하나, 사용에는 편리함(즉 여러 알트 코인을 편리하게 받을 수 있음)
  • 기본적으로 타 지갑과 호환이 안됨 : bc1q 네이티브 세그윗, 파생경로 상이함
  • 그러나 경로를 84에서 44로 바꾸면, 일렉트럼 또는 블루월렛 통해서 출금 가능

디센트 지갑

키스톤3프로

  • 100%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니모닉 생성 원리 숨기지 않음. 믿을만 함)
  • 루투스 및 통신기능이 없음
  • 에어갭 방식 지원
  • 일반적인 경로(84번)을 사용하기 때문에 타 지갑과 즉시 호환 가능(경로 변경 불필요)
  • BTC온리 펌웨어 제공
  • 멀티시그 지원: 거래소에서 쓰는 기능/여러 지갑을 만들어 사용할 경우 서명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
  • 한글 패치가 되어 약간의 한글 제공(그러나 본사가 홍콩이라서 한국어 고객센터 지원은 불가능)
  • 단점 : 제조는 중국이라서 ‘중국제품’ 이라는 한계는 존재함

키스톤3프로 지갑

지갑 선택 문제

  • 많은 코인을 보관할 경우 : 디센트, 렛저, 키스톤3프로, 제이드 등 여러 지갑에 나누어 보관 필요
  • 비트코인만 에어갭 지갑에 보관하고 싶은 경우 : 키스톤(중국산), 제이드(미국산), 콜드카드(캐나다산)
  • 한국어 고객센터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 디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