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월렛과 넌척에서 MFP(=XFP) 확인하는 방법

  • 디지털자산 개인지갑 셀프 커스터마이징을 할 때, 여러 개의 기기(또는 앱)들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지갑들이 동일한 지갑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MFP(=XFP)으로 보통 확인한다.
  • MFP는 지갑의 지문(이름, 아이디)과 같은 것이다. 지갑이 여러 개 일 경우, 특정 지갑을 표시해주는 마크이다. 보통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표시고,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다.
  • 내 지갑이 맞나 안 맞나 확인하는 방법은, 바로 지갑의 MFP를 확인하면 되는 것이다.


블루월렛에서 MFP 확인하기

  • 블루월렛 지갑 오른쪽 위 점 세개를 누른다.


  • 마스터 지문 아래에 MFP가 영어와 숫자로 표시된다.

넌척에서 XFP(=MFP) 확인하기

  • 넌척에서는 MFP가 XFP로 표시된다. 둘은 같은 개념이다.
  • View wallet config 를 클릭한다.
  • 아래에 XFP가 마찬가지로 영어와 숫자로 표시된다.
  • 동일 지갑이면, 블루월렛의 MFP와 넌척월렛의 XFP는 동일하게 표시된다.

MFP와 XFP의 이해

  • MFP(Master FingerPrint)와 XFP(Extended FingerPrint)는 모두 하나의 마스터 키(Master Key)에서 생성된 지갑의 ‘지문(fingerprint)’이다. 즉 지갑을 표시해 주는 ‘이름’, ‘아이디’ 같은 것이다.
  • 하드월렛(원더케이, 키스톤 등)은 보통 마스터 키(Master Key)를 기준으로 MFP를 보여준다.
  • 와치온리 지갑(Watch Only Wallet/트랜잭션 작성과 거래 내용을 보여주는 기능을 가진 지갑)은 블루월렛(BlueWallet)과 넌척(Nunchuk) 등의 소프트지갑(software wallet)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마스터 키에서 파생된 확장 공용키(Extened Public Key)의 XFP로 표시된다. 현재 넌척은 ‘XFP’로 표시해 주고 있고, 블루월렛은 ‘MFP’로 표시하고 있다.
  • 결국 마스터 키에서 파생된 첫 번째 확장 공용 키는 같은 지문을 가지기 때문에 두 값이 동일하다.

항목XFPMFP
대상 키확장 공용 키
(Extended Public Key)
마스터 키
(Master Key)
사용 목적특정 확장 공용 키 식별최상위 마스터 키 식별
일반적인 사용백업 또는 멀티시그 설정계층 구조 루트 키 식별
  • XFP와 MFP는 모두 BIP32 표준을 따라 4바이트 해시값을 생성한다.
  • 와치온리 지갑은 키를 관리하지 않고, 하드월렛에서 파생된 확장 공용 키를 이용해 거래 내역을 확인하거나 주소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확장 공용 키의 지문(XFP)를 사용한다.
  • 하드월렛(원더케이, 키스톤, 제이드 등)은 지갑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서명 기기라고 할 수 있는데, 같은 니모닉을 사용하는 동일한 키(마스터 키)이므로 그로부터 파생되는 확장 공용 키는 동일한 값으로 표시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