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개인지갑 MFP 개념과 니모닉 불러오기

MFP란 무엇인가?

  • MFP는 여러 지갑(니모닉 생성)을 구분하기 위해 ID역할을 하는 것
  • 즉 개인키의 식별자(ID)
  • 개인키를 여러 개 가지고 있는 경우, 구분할 때 유용함
  • 공개되어도 문제가 없음
  • 숫자 + 알파벳 조합의 8글자 = Master Finger Print
  • 패스프레이즈 적용 여부를 MFP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음

  • 위 그림은 니모닉을 입력하고 나면 나타나는 원더케이 디스플레이인데, 빨간줄 친 부분이 마스터 핑거 프린터(MFP)이다.
  • 본인이 패스프레이즈를 설정한 경우, 위 화면에서 두 번째 <패스프레이즈>를 클릭하고 입력하면 된다.
  • 이어서 <BIP39 패스프레이즈 입력> 클릭
  • 참고로, 패스프레이즈는 대문자 소문자 띄어쓰기를 구분하기 때문에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 패스프레이즈를 입력한 경우, MFP가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첫번째 빨간줄)
  • 패스프레이즈가 입력한 상태를 보여준다(두번째 빨간줄)
  • 종이카드에 MFP를 기록해 두면 지갑을 구분하기 좋다.
  • 지갑을 분실 하는 경우, 본인이 기억(암기)하는 패스프레이즈와 실제 패스프레이즈가 달라서 비트코인을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MFP를 두 세 번 확인한 후에 진행할 것.

패스프레이즈 입력 시 전혀 다른 새로운 지갑 생성

원더케이 지갑에서 니모닉 불러오기

  • <니모닉 불러오기> 클릭
  • 디바이스에 저장한 경우,
    • <저장공간에서 불러오기>
    • <비밀번호 입력>
    • 숫자 입력시 아래 ABC버튼을 두 번 전환됨
    • 참고로, 원더케이 지갑에서 니모닉을 불러오기 할 때 비밀번호를 잘못 눌렀을 경우, ‘ < ‘ 표시를 누르면 된다(지우개 역할)
  • 디바이스에 저장하지 않은 경우(직접 입력해서 불러오기 할 경우),
    • 14개 영어단어를 입력하는데
    • 먼저 12개 단어를 입력하고 나서,
    • “완료되었습니까” 에서 <아니오> 클릭하면,
    • 13번째 단어부터 입력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나머지 24개 단어를 모두 입력시킬 수가 있다.
    • 영어 알파벳 앞 4개를 입력하면, 나머지 영어 철자가 자동으로 표시되어 입력된다.
    • 참고로, 영어 단어가 같은 경우(중복)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