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주소체계 이해

  • 비트코인은 주소는 현재 네 가지 형태로 사용
  • 특별히 중앙화한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합의에 의해 아래 네 가지 형태로 발전됨
  • 과거에는 비트코인의 트랜잭션(거래내역)과 서명이 뒤섞여 있어서 블록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2017년도에 세그윗 업데이트라는 소프트포크를 통해서 비트코인 블록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업데이트 진행함

<초록색: 거래내역/노란색:서명정보>

레거시

  • 숫자1로 시작
  • 현재 빗썸 등에서 사용

네스티드 세그윗

  • 숫자 3으로 시작
  • 현재 업비트 등에서 사용
  • 2017년에 업그레이드

세그윗(SegWit)이란 무엇인가?

  • Segregated + Witness 합성어
  • 비트코인 블록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서명과 트랜잭션을 분리하는 소프트포그(업데이트)
  • 비트코인 전송 수수료 감소
  • 라이트닝 네트워크(레이어2) 시작
  • 오류감지 개선

네이티브 세그윗

  • bc1q로 시작
  • 현재 바이낸스와 개인지갑 등에서 사용
  • 현재 가장 많이 사용

탭루트(Tap root)

  • 2021년 업데이트 주소
  • 아직 사용하는 곳이 많지 않음

탭루트란 무엇인가?

  • 비트코인 거래 처리방식을 향상
  • 스마트컨트랙트(자동 조건으로 계약이행) 기능을 개선
  • 향후 비트코인 네트워크 위에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함
  • 오이너스와 룬즈 프로토콜 탄생 배경
  • 개인정보 보호 향상(보안성)

결론

  • 각 주소 유형 간에 주고 받는 것은 문제 없이 가능하나,
  • 가급적이면 bc1q로 시작하는 네이티브 세그윗 사용 권장
  • 특히 개인지갑에서는 bc1q로 시작하는 네이티브 세그윗 주소만 사용할 것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