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개인지갑(하드월렛)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초보자는 반드시 소량으로 왔다 갔다 연습을 하고 나서 원래 보내고자 하는 수량을 보낼 것을 추천합니다. 둘째, 개인지갑에서 출금할 때, 수수료 설정은 아끼지 말고 반드시 멤풀을 이용하여 ‘높은 우선 순위’ 사토시 보다 1~2 사토시를 플러스 해서 입력(아래 멤풀이용 방법 참조)해 주어야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하드월렛(원더케이)에서 니모닉 및 패스프레이즈 입력하기
- 원더케이(하드월렛)와 보조배터리 연결
- 맨위 <니모닉 불러오기> 클릭
- <저장공간에서 불러오기> 클릭(원더케이에 저장했을 경우)
- <직접 입력> 클릭(원더케이에 저장하지 않았을 경우)
- <시드 문구> 클릭
- <BIP-39 니모닉의 각 단어를 입력하십시요>에서 <예> 클릭
- 니모닉 첫번째 단어부터 24번째 단어까지 입력(니모닉 24개 단어 설정했을 경우)
- 12번째 단어를 입력하고 나면, <완료되었습니까?>에서 <아니오> 클릭
- 이어서 13번째 단어부터 계속 입력
- 24개 단어를 모두 입력하고 나면 전체 24개 단어 목록이 화면에 나옴
- 만약에 단어를 잘못 입력했을 경우 빨간색 글씨로 표시됨
- 그럴 경우 해당 단어를 다시 클릭해서 수정해 주면 됨
- 그 다음, 패스프레이즈가 없는 경우 <패스프레이즈 없음>으로 표시되고
- <이대로 불러오기> 클릭하면 됨
- 패스프레이즈가 있는 경우 <패스프레이즈> 클릭
- <BIP-39 패스프레이즈 입력> 클릭
- 패스프레이즈를 입력했을 경우, 위와 같이 <패스프레이즈: *..*>로 표시되고,
- 위 <5e392121> 8글자(숫자+알파벳)이 MFP(마스터핑거프린트) 임
- 이전에 생성할 때 적어놓은 종이카드의 MFP와 비교해서 같으면 제대로 지갑을 불러온 것임
블루월렛(BlueWallet)에서 출금하기
- 블루월렛 앱을 실행한다.
- 참고로, 넌척월렛과 블루월렛 중 한 곳에서 비트코인을 출금할 경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동일 출금이 불가
바이낸스(Binance) 입금 주소 복사해 오기
- 바이낸스 앱에서 <wallets>(우하측) 클릭
- Wallets > Spot > Deposit > BTC > BTC(SegWit) 차례로 클릭
- 빨간색 부분(복사하기) 클릭
- 블루월렛 앱으로 가서 Send(보내기) > 주소칸에 < 붙여넣기 > 함.
보낼 수량과 수수료(Fee) 설정하기
- 이어서 위 그림 빨간색 밑줄 친 부분에, 본인이 보내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완료)한다.
- <주의할 점>
- 바이낸스에서 개인지갑으로 비트코인을 보낼 경우에는,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알아서 책정 징수한 다음, 채굴자들에게 전달했는데,
- 개인지갑에서 거래소(바이낸스) 또는 다른 개인지갑으로 이동(송금)할 때에는, 개인이 수수료(Fee)를 책정할 수 있다.
- 위 그림에서 초록색(연두색) 부분을 클릭하면, 본인이 수수료를 선택할 수 있다.
- 빠르게 보내기(Fast), 중간(Medium), 느리게(Slow)를 선택할 수 있는데, ‘느리게’를 선택할 경우 심할 경우 1~2개월 걸리기도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빠르게’ 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 적정한 수수료 선정은 좀 더 정확하게는, 멤풀(Mempool) 사이트 또는 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멤풀에서 현재 수수료가 얼마가 적당한 지를 확인할 수 있다.
- vB (버츄얼 바이트) = 비트코인 수수료를 계산하는 단위
- (예) 4 sat/vB = 비트코인 수수료 4 사토시
- 비트코인 수량이 아니라 블록의 공간을 얼마나 차지하는 지에 따라 수수료 책정
- 위 그림에서 아직 미체결된 ‘높은 우선 순위’가 3 사토시 이므로, 그 보다 조금 높은 4 또는 5 사토시 정도로 수수료를 책정해 주면 바로 송금이 완료된다.
- 참고로, 위 그림에서 왼쪽 초록색 부분은 미채굴, 우측 파란색 부분은 채굴이 완료된 블럭을 보여주는 것임.
- 그러므로 블루월렛 앱 그림(위의 위 그림)에서 ‘빠르게’ 에 7 사토시로 표시되었지만, 바로 아래 Custom 을 클릭한 다음, 수수료(Fee)를 4 또는 5로(초보는 5로 하셈) 직접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수수료(BTC으로)가 조정이 된다.
- 이어서 NEXT를 클릭하면, 거래내역에 대한 QR코드가 생성이 된다.
원더케이(Wonder-K)에서 서명하기(에어갭 방식)
- 맨 위 원더케이 니모닉(개인키/패스프레이즈 포함)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MFP이 표시된 상태)에서
- <이대로 불러오기> 클릭
- 이어서 <서명하기> 클릭
- 이어서 <PSBT> 클릭
- 이어서 <카메라로 불러오기> 클릭
- 휴대폰 블루월렛(넌척)에는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개인키는 오직 하드월렛(원더케이)에만 저장되어 있음> 반드시 에어갭 상태로 서명을 해 주어야 한다.
- 원더케이 카메라로 휴대폰 블루월렛의 위 QR코드를 인식시킨다.
- 그러면 원더케이 화면에 수수료와 보내고자 하는 주소가 화면에 나타난다.
- 화면을 클릭을 한 번 더 해 준다.
- <QR코드로 내보내기> 클릭
- 그러면 서명이 완료된 QR코드가 원더케이 화면에 다시 생성이 된다.
- 이때,
- 아까 휴대폰의 블루월렛 QR코드 아래에 ‘서명이 완료된 트랜잭션(Scan Signed Transaction)‘ 부분을 클릭한다.
- 그런 다음, 이번에는 휴대폰 카메라로 원더케이 QR코드를 인식시킨다.
- 그러면 블루월렛 앱에 아래 그림이 나타난다.
- 위 그림은. ‘당신의 서명된 트랜잭션은 전송될 준비가 되었다’ 라는 내용이 나오고,
- 맨 아래 <Send now>를 클릭하면 완료된다.(최종 화면 Done 클릭)
- 1~2분 정도 뒤에 블루월렛 지갑 최신화(화면을 밑으로 당겼다가 놓음)를 시키면,
- Pending 이라는 글씨와 함께 현재 -OOOBTC 가 출금 중에 있다. 라고 표시됨.
- Details 를 클릭해서 아래 그림처럼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음
- 전송상태를 아래 View in Browser를 클릭해서 확인할 수도 있고,
- 또한 Transaction ID를 복사(Copy)해서 위 멤풀(Mempool) 사이트(또는 앱)에서 돋보기 검색 창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해당 트랜잭션의 처리(전송)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다.
- Pending이 완료된 이후, 블루월렛(넌척)과 바이낸스에서 최종 확인해 보면 된다.
- 참고로, 거래소에서 개인지갑(블루월렛/넌척)으로 비트코인을 받을 때, 공개키 주소 목록은 하나의 개인키에서 (무한)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블루월렛(넌척) 주소목록(show address)에서 이미 사용했던 주소를 사용해도 되고, 새로운 주소를 사용해도 아무 상관 없다.
개인지갑에서 개인지갑으로 전송하기
- 다른 것은 위와 동일하다
- 단, 받을 주소에, 다른 개인지갑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된다.
넌척월렛(Nunchuk)에서 출금하기
- 넌척월렛 앱을 실행한다.
- 맨 아래가 이전에 거래소(또는 다른 지갑)에서 개인지갑으로 받은 0.0003BTC 거래내역이고
- 가운데가 조금 전 위 블루월렛에서 0.0001373BTC 출금 거래내역이 나오고
- 현재 내 개인지갑에 0.00016270BTC 남아 있는 상태를 표시해 주고 있다.
- 출금할 때는 먼저 Send 버튼을 클릭
- 남아 있는 잔액을 모두 보낼 때는 Send all 클릭
- Continue 클릭
- 위 그림의 첫번째 칸에 받을 주소(바이낸스 BTC 주소 또는 다른 개인지갑 BTC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 참고로, 100만원 이상은 개인지갑에서 국내거래소로 바로 전송하면 안된다.
- 반드시 개인지갑에서 해외거래소(바이낸스)를 거처서 빗썸이나 업비트로 전송할 것.
- 빗썸의 경우, 바로 받을 수는 있는 데 소명하는 절차가 복잡하다.
- 받을 주소를 입력한 다음, 맨 아래 수수료 설정을 위해 <Customize transaction> 클릭
- 위 그림에서 Manual fee rate 를 체크하면,
- 수수료 설정을 직접할 수 있다.
- 동일하게 멤풀 사이트에 접속해서 현재의 수수료 상태를 확인한다.
- 현재 높은 우선 순위 수수료가 5 사토시이므로, 넉넉히 6 또는 7 사토시로 수정해서 입력하고, Continue를 클릭한다.
- 그러면 0.0000060 BTC 수수료가 책정되었고,
- 맨 아래 <Confirm and transaction > 클릭한다.
- 트랜잭션이 생성이 되었으면, Sign 을 클릭한다.
- 이어서 나오는 다음화면의 맨 아래 < Export transaction > 을 클릭한다.
- 이어서 < Export via QR >을 클릭한다.
- 큐알 밀도를 인식하기 좋게 낮은 상태(Low) 로 맞춘 다음,
원더케이에서 서명하기
- 하드월렛 원더케이에 니모닉(개인키/패스프레이즈 포함)을 입력 완료한 상태(MFP이 표시된 상태)에서
- <이대로 불러오기> 클릭
- 이어서 <서명하기> 클릭
- 이어서 <PSBT> 클릭
- 이어서 <카메라로 불러오기> 클릭
- 휴대폰 블루월렛(넌척)에는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개인키는 오직 하드월렛(원더케이)에만 저장되어 있음> 반드시 에어갭 상태로 서명을 해 주어야 한다.
- 원더케이 카메라로 휴대폰 블루월렛의 위 QR코드를 인식시킨다.
- 그러면 원더케이 화면에 수수료와 보내고자 하는 주소가 화면에 나타난다.
- 화면을 클릭을 한 번 더 해 준다.(서명 완료)
- <QR코드로 내보내기> 클릭
- 그러면 서명이 완료된 QR코드가 원더케이 화면에 다시 생성이 된다.
- 이 때, 넌척월렛에서
- 맨 아래 < Import signature > 클릭한 다음,
- 카메라 화면이 나타나면 원더케이에서 새롭게 생성된 서명된 QR 코드 를 인식시킨다.
- 이어서 맨 아래 < Broadcast transaction > 을 클릭한다.
- 이후 10~30분 정도 기다리면, 전송이 완료된다.
- 참고로, 하드월렛(원더케이)는 출금할 때만 필요하고
- 받을 때는 넌척월렛 또는 블루월렛만 있으면 되고,
- 없더라도 복사된 받을 주소만 있으면 된다.
보론 : 디지털 서명 원리
- 개인키(니모닉+패스프레이즈) : 트랜잭션(거래내역)을 암호화하는 데 사용
- 공개키 : 거래내역을 복호화 하는 데 사용
- 개인키는 수많은 공개키를 만들어 냄
- 개인키 서명은 하드월렛(원더케이 등)에서 이루어지고, 공개키는 ‘받는 주소’
보론: UTXO와 CHANGE 주소 개념 이해하기
UTXO 주소
- UTXO = Unspent Transacyion Output : 사용되지 않은 거래의 출력값, 디지털 화폐의 잔액을 추적하는데 사용.
- 즉 UTXO = 내가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
- UTXO와 수수료의 관계 : UTXO가 많을수록 수수료가 비싸다.
- 아래 그림에서 수수료는 UTXO 단위로 입력되기 때문에 윗쪽(3회 출금)이 아랫쪽(1회 출금) 보다 수수료가 3배로 됨.
- 그러므로, 개인지갑에 UTXO가 많을 경우, 수수료가 낮을 때 UTXO 수를 줄여 놓으면(즉 거래소로 빼냈다가 한 번에 다시 개인지갑으로 보내는 작업) 향후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음.
CHANGE 주소
- CHANGE 주소 : 잔액(잔고) 주소 개념
- UTXO는 전체를 소비하기 때문에 잔액이 발생할 경우, Change Address로 송금되며, 해당 주소 역시 나의 개인키에 귀속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사용 가능
< 자료출처 : 봉현이형 YouTub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