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핀으로 연명하는 한국 경제

들어가며 빚이 많은 개인이 갚아야 할 날짜까지 빌린 돈을 갚지 못하면 그 개인은 파산한다. 기업도 마찬가지이고, 국가 경제도 마찬가지이다. 2000년대 들어와 한국 경제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 왔는지 아래 통계 수치들을 보면 한 눈에 알 수 있다. 20년 전과 비교해 보면, 한국 사회 어디를 가나 아파트 상가 건물들의 천국이 되었다. 속된 말로 ‘시멘트 공구리’ 천국의 사회이다. … Read more

장기 불황과 거품 경제

들어가며 오늘날 세계경제는 부채 경제라 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부채문제는 신흥국 뿐만 아니라 선진국 정부에서도 현안 문제이다. 왜 세계 경제는 부채 천국의 경제가 되었을까? 그것은 자본주의 세계 경제가 이윤율을 회복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침체되어 왔는데, 이를 극복하려고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유지하며 기업에 자금을 지원 공급하는 정책, 즉 양적완화 정책을 펼쳐 온 데 따른 필연적인 … Read more

2023년 세계 금융위기와 인플레이션

세계 대형 은행들의 연쇄 파산 상업용 부동산 위기 한국 금융권도 비슷 구분 은행권 비은행권(제2금융권) 2022년도 PF대출잔액 30조 8000억 원 85조 8000억 원 (한국은행/3월 통화신용정책 보고서) PF 대출잔액(은행권) PF대출잔액(비은행권) 합계 2012년 24조 5,000억원 13조 원 37조 5,000억 원 2022년 30조 8,000억원 85조 8,000억 원 116조 6,000억 원 (한국은행) 인플레이션 금융 불안정 심화와 고통 전가

새마을금고 사태의 본질

최근 새마을금고 부실 사태가 심상치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새마을금고 사태의 본질과 한국 금융 불안정 상황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 대출 연체율 증가 시기 구분 대출 연체율 2021년 말 1.93% 2022년 말 3.59% 2023년 6월말 6.18% 새마을금고 수도권 일부 연체율 10~30% 부실사태 다른 금융기관으로 파급될 가능성 高 구 분 새마을금고 건설 부동산 기업 대출잔액 2019년 말 … Read more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크레디스위스 파산과 세계 금융위기의 확산

2023년 3월 SVB와 크레디스위스의 파산은 세계 금융 위기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또한 세계 자본주의를 관리하는 통치자들과 중앙은행들의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징후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은행들의 파산이 왜 일어나고,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반복되는 세계 금융 위기의 근본적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는 오늘날 세계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핵심이기도 합니다. … Read more